본문 바로가기
건강 지킴이

👁 “왼쪽 세계가 사라졌어요”, 우측무시증

by junkshop 2025. 5. 5.

– 우측무시증(Hemispatial Neglect), 뇌가 무시하는 반쪽 세상

"식사를 하면 반찬을 한 쪽만 먹고, 거울을 보면 한 쪽 머리만 빗어요."
만약 누군가 이런 행동을 반복한다면 단순한 건망증이 아닌
**‘우측무시증(Hemispatial Neglect)’**일 수 있습니다.

 

 

눈은 멀쩡히 보이는데,
뇌가 한쪽 공간을 인식하지 못하는 신경심리 증상.
이 글에서는 이 독특한 증상에 대해
일상 예시부터 진단, 재활 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봅니다.


✅ 우측무시증이란?

우측무시증
뇌 손상 후에 시야나 청각, 감각 등이 정상이더라도
자신의 한쪽(주로 왼쪽) 공간이나 신체를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 ‘우측무시증’이라는 명칭은 우반구(오른쪽 뇌)가 손상되어 ‘왼쪽’ 세상을 무시한다는 의미입니다.


🧠 왜 생기나요?

원인설명
우측 두정엽 손상 공간지각, 시공간 정보 통합을 담당하는 부위
뇌졸중 특히 우측 뇌경색(중대뇌동맥 영역)에서 자주 발생
외상성 뇌손상 교통사고, 낙상 등
뇌종양/수술 후 드물지만 가능
 

우측 뇌는 좌우 공간 정보를 모두 담당하지만, 좌측 뇌는 오른쪽 공간만 처리하기 때문에
우측 뇌가 손상되면 왼쪽 공간 인식 자체가 결여됩니다.


🔍 대표적인 증상

유형실제 행동 예시
시각적 무시 책이나 신문을 오른쪽만 읽음
신체 무시 왼손이 더러워도 씻지 않음, 셀프케어 시 한쪽만 관리
공간 무시 식탁에서 한쪽 음식만 먹음, 한쪽에 벽이 있어도 인식 못함
작업 무시 그림을 그릴 때 한쪽은 공백으로 남김
지시 무시 “왼쪽으로 움직여보세요” → 오른쪽으로만 반응
 

📌 환자는 본인이 한쪽을 무시하고 있다는 것을 스스로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어떻게 진단할까?

대표적인 검사

  1. 선 긋기 검사(Line Bisection Test)
    → 종이에 그어진 선의 가운데를 짚게 하면 오른쪽으로 치우침
  2. 별 찍기 검사(Star Cancellation Test)
    → 특정 도형을 모두 찾는 검사에서 왼쪽은 빠뜨리는 경향
  3. 시계 그리기 테스트
    → 숫자가 한쪽에만 몰려 있는 시계 그림을 그림
  4. 거울 테스트 / 식사 관찰
    → 일상 행동 중 무시 경향 확인

📌 정밀한 신경심리검사 및 MRI, CT를 통해 병변 위치와 손상 정도를 함께 평가합니다.


🧘‍♀️ 회복은 가능한가요?

우측무시증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호전되는 경우도 많지만,
방치할 경우 일상 기능 저하, 낙상 위험, 우울증 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효과적인 재활법

방법설명
시각적 주의 훈련 왼쪽 공간을 주시하거나 눈을 돌리는 훈련
프리즘 치료 시야를 인위적으로 이동시켜 인식 유도
거울 치료 거울을 통해 왼쪽 인식 연습
촉각/청각 자극 병행 감각 자극으로 좌측 자각 증진
가족의 피드백과 도움 식사, 옷 입기 등 실생활에서 적극 관찰 및 교정
 

🙋 이런 상황이라면 꼭 신경과 상담이 필요해요

  • 뇌졸중 이후 자꾸 왼쪽을 놓치는 행동이 보인다
  • 거울을 보면 자신의 얼굴이 ‘절반만’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
  • 한쪽 공간에서 자꾸 부딪히거나 무시하는 행동이 반복된다
  • 눈은 정상인데 시야가 이상하다는 느낌이 든다

💡 우측무시증과 시각장애의 차이는?

구분우측무시증단순 시야결손
원인 뇌의 공간 인식 기능 문제 시신경 또는 시야 손상
시야 자체 존재함 (보이긴 함) 결손 있음 (보이지 않음)
자각 여부 거의 없음 본인이 인식함
보완 방법 인지 훈련 머리나 눈 돌리기
 

🧡 마무리하며

우측무시증은 단순한 시력 문제가 아닌
**'뇌가 한쪽 세상을 잃어버리는 현상'**입니다.

✔ 뇌졸중이나 외상 이후 이상 행동이 나타났다면
✔ 단순 무심함으로 넘기지 말고
✔ 조기 인지와 재활 훈련을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 뇌가 ‘세상의 반쪽’을 무시하지 않도록,
오늘도 관심과 이해가 필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