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데노이드/편도 비대증의 증상부터 수술 여부까지 정리!
“밤에 숨을 쉬다가 자꾸 깨요…”
“입을 벌리고 자는 게 습관 같아요…”
“코골이가 심하고, 자주 중이염이 생겨요…”
이런 증상이 반복된다면 단순한 감기나 비염이 아니라,
아데노이드 비대증 또는 편도 비대증일 수 있습니다.
성장기 아이에게 흔하게 나타나는 질환이지만,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수면 장애, 학습 저하, 얼굴형 변화까지 이어질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 원인부터 증상, 수술 기준과 관리법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 아데노이드와 편도는 뭐가 다른가요?
편도(tonsil) | 목젖 양 옆, 구강 내 | 외부 세균 감지, 면역 반응 | 목통증, 연하곤란, 호흡곤란 |
아데노이드(adenoid) | 코 뒤쪽, 인두 상부 | 코로 들어오는 병원체 차단 | 코막힘, 코골이, 입벌림 호흡 |
둘 다 면역기관이지만, 너무 커지면 오히려 호흡과 수면을 방해하게 됩니다.
📈 아데노이드/편도 비대의 주요 원인
- 선천적으로 조직 크기가 큰 경우
- 반복적인 감기, 편도염, 부비동염 등
- 알레르기 비염 또는 천식 체질
- 공기 오염, 흡연 환경, 먼지 많은 실내
- 면역력이 떨어질 때 감염 반응 과민
주로 3~10세 사이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며, 일부는 성장하면서 작아지기도 합니다.
🤧 대표 증상
호흡 | 코막힘, 입벌림, 코골이, 수면 무호흡 | 목이 조여 숨쉬기 어려움, 수면 시 코골이 |
수면 | 수면 중 자주 깸, 숙면 부족 | 수면 무호흡, 자주 뒤척임 |
말/얼굴 | ‘비음’ 섞인 말투, 아데노이드 얼굴형 | 발음 부정확, 턱/혀 위치 변화 |
기타 | 중이염, 부비동염, 집중력 저하 | 삼킴 곤란, 잦은 편도염 |
🧪 진단 방법
이비인후과 진찰 | 구강과 비강 내 편도/아데노이드 상태 관찰 |
측면 X-ray or 내시경 | 아데노이드 크기 확인 |
수면검사 (PSG) | 수면 무호흡 여부, 산소 포화도 측정 |
청력검사 | 중이염 동반 여부 확인 |
💊 치료 방법
✔ 비수술적 치료
- 항생제,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 스프레이 등으로 염증 완화
- 비강세척, 습도 조절로 증상 관리
- 비염·천식 등 알레르기 동반 질환 병행 치료
✂ 수술은 언제 하나요?
수술은 호흡 장애, 수면 무호흡, 성장·발달 지연이 우려될 때 고려합니다.
수술 기준 (일반적 가이드라인)
- 수면 무호흡 증후군 (밤에 숨 멎는 증상 반복)
- 코골이 + 입벌림 호흡 + 집중력 저하
- 편도 크기 3도 이상 (목구멍 75% 이상 막을 정도)
- 1년에 편도염 5회 이상 반복
- 중이염이나 부비동염 자주 발생
수술은 편도절제술 + 아데노이드 절제술을 함께 시행하는 경우가 많으며,
보통 전신마취 하에 시행, 회복까지 1주일 전후 소요됩니다.
🏡 생활 속 관리법
코 세척 | 생리식염수로 하루 1~2회, 코막힘 완화 |
습도 유지 | 실내 습도 40~60% 유지 → 코 점막 보호 |
자세 교정 | 높은 베개는 피하고, 옆으로 눕히기 |
수면 루틴 | 일정한 시간에 자고, 숙면 환경 조성 |
면역력 강화 | 규칙적인 식사 + 수면 + 운동 + 유산균 섭취 |
🙋♀️ 이런 경우 꼭 병원에 가보세요
✔ 아이가 자주 입을 벌리고 호흡하거나 코를 골 때
✔ 밤에 자주 깨고, 숨이 멎는 듯한 느낌이 들 때
✔ 발음이 이상하거나, 집중력이 저하될 때
✔ 감기 아닌데도 중이염이나 부비동염이 반복될 때
✔ 6세 이상인데도 여전히 아데노이드/편도 비대가 심할 때
🧡 마무리하며
아데노이드와 편도는 우리 아이의 면역을 지키는 중요한 기관이지만,
너무 커지면 오히려 성장과 수면, 집중력에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 수술이 항상 정답은 아니지만,
✔ 아이의 일상이 힘들어질 정도라면 꼭 전문 진료를 받아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성장기 아이의 숨소리와 잠자는 모습은, 건강을 말해줍니다.”
오늘부터 아이의 수면과 호흡, 조금 더 관심 있게 지켜봐주세요 😊
'건강 지킴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계절만 바뀌면 코가 난리예요” (0) | 2025.04.23 |
---|---|
“밤마다 실수해요…” (0) | 2025.04.23 |
감기인 줄 알았는데 ‘소아천식’? (0) | 2025.04.22 |
우리 아이 키가 너무 안 크는 것 같다면? (0) | 2025.04.22 |
소아 아토피, 무조건 참지 말고 제대로 관리하세요! (0) | 2025.04.22 |